생각정리5 MSA와 클라우드, AI 서비스에 대한 실용적 혜안 최근 MSA와 클라우드에 대한 여러 관점을 접해보았지만, 특히 임성열 교수님의 글에서 큰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다. 단순한 기술 찬양이 아닌, 실무적 맥락과 비용적 관점, 적용 범위에 대한 냉철한 분석이 담겨 있었기 때문이다. 그간 막연하게 ‘MSA가 미래다’, ‘클라우드는 정답이다’라고 생각했던 나의 시야가 조금은 정돈되는 계기가 되었다. 아래는 교수님의 원문 내용이며, 이 글을 통해 필자가 정리한 생각을 함께 공유하고자 한다. (참고로 임성렬 교수님은 세계 3대 인명사전 마르퀴즈 후즈후에 등재되신 실무 전문가이시다..📚) 안녕하세요, 임성열입니다."MSA와 클라우드, AI 서비스에 대한 혜안"에 대해서 의견드립니다.[ 질문 ]MSA(Micro software architecture)가 등장하고 수.. 2025. 4. 10. 저자님께 책 선물을 받았다(이게 바로 성덕..?) https://www.youtube.com/watch?v=14ciuOcYQVo&list=PLtht1_et-35CMdKeY6DzeLoXzXGwZyaM2 부트스트랩으로 간단히 웹 페이지를 꾸며야 할 일이 있어 '아프리카도서관'님의 유튜브 영상으로 공부를 했었다.그리고 구독을 하고 있었는데 올해 1월에 그 아프리카도서관님이 책을 냈다는 소식을 접했다. 『Vue 3와 스프링 부트로 시작하는 웹 개발 철저 입문』개인적으로 리액트를 배우기에는 너무 헤비하다 생각했고, FE + BE에 AWS 배포까지 한 권에 다 들어있는 책이라 매우 관심이 갔다.그래서 그냥 바로 구매하기로 결심했다 🤨 하지만.. 전자책을 찾아보려 했으나 보이지가 않았다. 혹시 책이 출간된 지 얼마 되지 않아 아직 전자책이 나오지 않은 것인지 .. 2025. 3. 31. 트러블 슈팅: 딥러닝 모델 서빙(w/FastAPI) 세계 3대 인명사전 마르퀴즈 후즈후에 등재된 '임성렬 교수님'과 함께 FastAPI로 딥러닝 모델 서빙을 했다. 나와 같은 팀 형의 임무는 파일을 업로드하는 POST method의 Internal Server Error를 해결하는 것이었다.우리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 하지만, 원인은 아주 간단함 속에 있었다.. 우리는 문제의 본질을 놓치고 있었다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FastAPI 서버를 띄우고 브라우저에 접속했을 때 메인 페이지가 보이도록 하기 위해, main.py에 루트 경로(/)에 대한 라우팅 코드를 추가했다. HTML을 반환하는 방식으로 코드를 작성하고, 정적 파일 경로도 따로 mount 했다.그런데 서버는 분명히 잘 실행되었음에도 메인 페이지는 표시되지 않.. 2025. 3. 21. 누군가 내 코드를 베꼈다 정확히는 누군가가 내 과제를 베꼈다 https://claremont.tistory.com/category/Computer%20Science/%EC%95%8C%EA%B3%A0%EB%A6%AC%EC%A6%98 'Computer Science/알고리즘' 카테고리의 글 목록세종대학교 전자정보통신공학, 컴퓨터공학 전공claremont.tistory.com 지난 여름방학때 나는 알고리즘 수업 예습을 위해 미리 교안과 실습문제, 과제 파일을 받아 공부를 다 끝내놓았다. 그리고 개강 후 첫 과제 제출이 있었는데 여기서 나는 0점을 받았다. 아무리 생각해도 내 코드는 완벽했다. 그러다 문득, 이전에 올라왔었던 공지사항이 떠올랐다. 설마 이것때문인가 하고 TA 조교님께 바로 메일을 보내봤다 역시.. 맞았다 그렇다면 누군.. 2024. 10. 7. 수용하는 자세에 대해서 자바의 표준 ORM 기술인 JPA의 역사를 아는가? 과거 자바가 제공하던 표준 ORM 기술은 매우 매우 불편했다. 이에 대응해 누군가가 하이버네이트라는 ORM 오픈 소스를 만들었는데, 이 기술이 자바 표준 ORM 기술보다 더 널리 사용되었다. 썬 마이크로시스템즈는 결국 하이버네이트를 만든 개발자를 데려와 새로운 자바 ORM 표준을 만들었고, 이것이 바로 오늘날의 JPA가 되었다. 자바의 java.time 패키지도 이와 비슷하다. 자바가 처음 표준으로 제공했던 Date와 Calendar 라이브러리는 사용성이 떨어지고, 여러 문제점이 많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Joda-Time이라는 오픈소스 라이브러리가 등장했다. Joda-Time은 뛰어난 편리함과 사용성 덕분에 크게 대중화되었다. 이 상황.. 2024. 8. 2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