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웹/웹 개발8

[웹 개발] Mermaid 다이어그램을 활용합시다! ㅇMermaid 다이어그램: 마크다운(Markdown) 기반의 다이어그램을 작성할 수 있는 오픈 소스 라이브러리복잡한 UML 다이어그램, 순서도, 간트 차트 등을 "코드로 작성할 수 있어" 개발자와 문서 작성자에게 유용하다 [Mermaid 다이어그램의 특징]텍스트 기반 작성: 단순한 텍스트 코드만으로 다이어그램을 생성할 수 있다다양한 다이어그램 지원: 순서도(flowchart), 간트 차트(Gantt chart), 상태도(state diagram), 파이 차트(pie chart) 등을 지원한다마크다운 문서와 통합 가능: GitHub, Notion, MkDocs, Obsidian 등 여러 문서 작성 도구에서 사용 가능하다브라우저에서 직접 렌더링: HTML과 JavaScript 환경에서 즉시 시각화할 수 있.. 2025. 2. 4.
[웹 개발] RDE(Remote Development Environment) 진짜 편해요! 통합 개발 환경(IDE,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은 진작 많이 들어봤을 것이다. 그런데 혹시 원격 개발 환경(RDE, Remote Development Environment)는 들어본 적이 있는가? 한 번 써보면, 편리함의 신세계를 경험할 것이다. 단점은 딱 하나! 클라우드 환경이기 때문에 조직 구성원들이 많이 사용하면 사용할수록 돈이 그만큼 깨진다.   ㅇRDE(Remote Development Environment): 개발자가 원격으로 개발 환경에 접근하고 작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플랫폼RDE는 클라우드 또는 원격 서버에서 실행되는 개발 환경을 의미하며, 개발자는 "로컬 컴퓨터에 별도의 개발 환경을 구축하지 않고도" 원격에서 개발 및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2025. 2. 3.
[웹 개발] ADMP(Active Directory Management Platform) 정의 ㅇADMP(Active Directory Management Platform): 조직의 IT 인프라에서 Active Directory(AD)를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플랫폼AD는 기업 내 사용자 계정, 그룹, 정책 등을 중앙에서 관리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하지만, AD의 기본적인 관리 도구만으로는 대규모 조직에서 효율적인 관리가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ADMP가 등장하였다.  [ADMP 주요 기능]ADMP는 단순한 AD 관리 도구가 아니라,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여 AD 운영을 자동화하고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1. 사용자 및 그룹 관리대량 사용자 계정 생성 및 수정 자동화그룹 정책 설정 및 관리사용자 계정 비활성화.. 2025. 2. 3.
[웹 개발] 기상청 API 활용 Python 코드 https://github.com/drone-skynet/server GitHub - drone-skynet/server: 다중 무인 드론 중고거래 배송 시스템 구축다중 무인 드론 중고거래 배송 시스템 구축. Contribute to drone-skynet/server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github.com  이전에 진행했던 다중 무인 드론 중고거래 배송 시스템에서 기상청 API 활용 방법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우리는 기상청 API를 경로 탐색 서버(Flask)의 경로 탐색 모듈에 탑재하였다. 이 모듈은 기상청 Open API를 활용하여 실시간 기상 데이터를 수집하고, 드론의 경로 탐색 알고리즘에 반영하여 동적 경로 조정을 수행한다. API에.. 2025. 1. 24.
[웹 개발] 캐싱 문제와 시크릿 탭 해결 방법의 이유 혹시 로컬로 서버를 개발하고 테스트하는 과정에서, 새로고침을 해도 브라우저의 내용이 즉시 반영되지 않는 문제를 경험해 본 적이 있지 않은가? 분명, 웹 서버를 개발하고 테스트하는 과정에서 새로 업데이트한 내용이 브라우저에서 즉시 반영되지 않는 문제를 경험했을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브라우저의 캐싱(Caching)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브라우저 캐싱이 어떻게 동작하는지, 왜 새로고침(refresh)으로 해결되지 않는 경우가 있는지, 그리고 시크릿 탭을 사용했을 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이유를 설명하려 한다.  ㅁ브라우저 캐싱(Caching): 웹 브라우저가 웹 서버에서 불러온 데이터를 로컬에 저장하여 다음 요청 시 더 빠르게 로드할 수 있도록 돕는 기술캐싱이 활성화되면 브라우저는 자주 요청되는 리소스(.. 2025. 1. 10.
[웹 개발] IPv4 0.0.0.0란?(feat. 로컬 환경에서의 웹 모바일 접속) 0.0.0.0은 네트워크 설정 및 프로그래밍에서 자주 등장하는 특별한 IP 주소이다. 이 주소는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되며, 문맥에 따라 의미가 달라질 수 있다. 0.0.0.0은 IPv4에서 "비특정 주소"를 나타내는 예약된 주소이다. 이는 특정한 장치나 인터페이스를 지칭하지 않고, "모든 IPv4 주소"를 의미하거나, 아직 설정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네트워크 설정 시 0.0.0.0은 다음 두 가지 의미로 자주 사용된다서버에서의 사용: 서버가 0.0.0.0을 바인딩하면 모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서 접속을 허용한다. 예를 들어, 웹 서버가 0.0.0.0에 바인딩되었다면, 로컬 네트워크 및 외부 네트워크에서 해당 서버에 접근이 가능하다.라우팅 테이블에서의 사용: 0.0.0.0은 기본 게이트웨이(defa.. 2024. 12. 22.
[웹 개발] API 명세서 작성 tip https://tech.kakaoenterprise.com/127 [TW] API 문서 톺아보기시작하며 안녕하세요. 카카오엔터프라이즈 테크니컬라이팅 팀의 Crystal(김유리), Sandy(차신영), July(김정인)입니다. 테크니컬라이팅 팀에서는 Kakao i 기술문서 사이트에 카카오엔터프라이즈가 개tech.kakaoenterprise.com정말 정말 좋은 글이다! 꼭 한 번씩 읽어보자 https://cobinding.tistory.com/165 [BackEnd] API 명세서 작성 가이드 라인 | 작성 예시프로젝트에서 API 명세서와 ERD 설계를 맡았다. API 명세서를 작성해본 적이 없어서 최대한 공식적인 자료를 바탕으로 찾아보다가 사막의 오아시스같은 글을 발견해서 정리하고 두고두고 보려고cobi.. 2024. 10. 6.
[웹 개발] 데이터 사전의 테이블 정의(ERD 설계) 데이터 사전(데이터 딕셔너리)은 DBMS에서 데이터에 대한 메타데이터, 즉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도구 또는 파일이다. 이는 데이터의 구조, 의미, 제약 조건, 관계 등을 명확하게 설명하여 사용자가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데이터 사전의 주요 요소는 다음과 같다테이블 정보: DB에 저장된 테이블들의 이름, 설명, 각 테이블의 열(Column) 목록 및 열의 데이터 유형, 길이 등이 포함된다.열(Column) 설명: 각 열의 이름, 데이터 유형, 기본값, 허용되는 값의 범위, NULL 값 허용 여부, 외래 키(Foreign Key)와 같은 제약 조건 등이 기록된다.제약 조건: 테이블 간의 관계, 외래 키(Foreign Key) 및 기본 키(Primary Key)와 같은 .. 2024. 10.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