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웹/웹 지식21

[웹 지식] config 파일이란? (직역하면 configuration은 환경설정이라는 뜻을 갖고 있다)  ㅇconfig(configuration): 시스템,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등의 설정을 저장하는 구성 파일 또는 데이터컴퓨터 시스템과 소프트웨어에서 config는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사용자가 직접 설정을 변경할 수도 있으며, 애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생성하는 경우도 많다. config 파일은 소프트웨어의 동작을 사용자 환경에 맞게 최적화하는 데 필수적이다. [config의 역할]소프트웨어 설정 저장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때 필요한 환경 변수 및 옵션을 저장사용자별 설정을 저장하여 개별적인 환경 제공시스템 및 네트워크 구성 관리서버,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설정 등의 관리특정 서비스의 동작 방식 제어보안 및 접근 제어.. 2025. 2. 4.
[웹 지식] GraphQL이란? (REST API vs GraphQL) https://claremont.tistory.com/entry/%EC%9B%B9-%EC%A7%80%EC%8B%9D-API%EC%99%80-RESTful-API [웹 지식] API와 RESTful APIㅁ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소프트웨어 간의 상호작용을 위한 규칙과 프로토콜을 정의하는 것API는 다른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와의 데이터 교환 및 기능 호출을 가능하게 하여, 개발자가 기claremont.tistory.com GraphQL이란 API 설계 스타일 중 하나이며, 그중에는 우리가 흔히 아는 REST API 방법이 있다   ㅁGraphQL: Facebook이 개발한 API 쿼리 언어 및 실행 환경REST API의 단점을 보완하고 더 유연한 데이터 요청을 .. 2025. 1. 30.
[웹 지식] 토큰(token)에 대해서 토큰하면 어떤 것이 먼저 떠오르는가? 필자는 유희왕의 토큰 카드가 가장 먼저 떠오른다..ㅋㅋ실제로 토큰의 쓰임새는 크게 다르지 않다ㅎ 오늘은 토큰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고, API 키와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도 살펴보자!  ㅇ토큰(Token): 인증 및 권한 부여를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의 단위API 키와 유사한 목적을 가지지만, 일반적으로 더 정교하고 안전한 인증 체계를 구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주로 OAuth2.0와 같은 인증 프로토콜에서 활용되며, 사용자의 세션을 나타내거나 API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한다. [발급 과정]토큰은 인증 서버에서 클라이언트의 자격 증명(예: 사용자 아이디와 비밀번호)을 검증한 후 발급된다그냥 쉽게 말해서, ID와 PWD가 올바르면 발급한다 [주로 사용되는 토큰 유형].. 2025. 1. 25.
[웹 지식] API 키(Key)란? ㅇAPI 키(Key): 특정 API를 사용할 수 있도록 허가받은 사용자임을 인증하기 위한 고유한 문자열(e.g. abcdef1234567890XYZ!@#)주로 API 제공자가 각 사용자나 애플리케이션에 발급하며, 다음과 같은 역할을 지닌다사용자 인증: API 요청을 보낸 사용자가 인증된 사용자임을 증명사용량 추적: API 제공자는 키를 통해 각 사용자의 API 호출 횟수나 사용 패턴을 추적권한 제어: 특정 API 키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나 데이터 접근 범위를 제한 [사용 방법] API 호출 시 키를 요청 헤더 or 요청 바디 or URL 파라미터에 포함하여 사용예를 들어, 기상청 Open API를 호출할 때 API 키를 URL 파라미터에 포함한다import requestsurl = "http:/.. 2025. 1. 24.
[웹 지식] 가상 환경(Virtual Environment) (참고) 자바(Java)에서의 의존성 관리가상 환경과 유사한 개념자바에서는 파이썬의 가상 환경과 직접적으로 동일한 개념은 없지만, 빌드 도구(e.g. Maven, Gradle)를 사용하여 프로젝트별로 의존성을 관리하고, 특정 JDK(Java Development Kit) 버전을 지정할 수 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가상 환경(Virtual Environment)은 주로 파이썬(Python)에서 프로젝트별로 독립적인 패키지와 의존성을 관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개념이다. 자바(Java)나 자바스크립트(JavaScript)와 같은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도 유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도구와 방법들이 존재한다. ㅁ가상 환경(Virtual Enviro.. 2024. 10. 17.
[웹 지식] 템플릿 엔진(feat. JSP, Thymeleaf, Freemarker) ㅇ템플릿 엔진(Template Engine): 웹 개발 서버 사이드에서 동적으로 HTML을 생성하는 도구템플릿 엔진을 사용하면 프로그래머는 HTML 코드 내에 동적인 데이터를 쉽게 삽입할 수 있으며, 반복적인 코드 작성을 줄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HTML 파일에 변수를 넣고, 서버에서 이 변수를 데이터와 바꿔 HTML을 완성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템플릿 엔진의 주요 목적은 코드의 유지보수성을 높이고 개발 속도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기존의 HTML 코드를 반복적으로 작성하는 것을 피하고, 데이터를 동적으로 삽입하는 방식으로 효율적인 개발이 가능하다. 이 외에도 템플릿 엔진을 사용하면 코드와 디자인을 분리할 수 있어 협업에 유리하다.  [템플릿 엔진 종류]1. JSP(Java Server Pages) -.. 2024. 10. 6.
[웹 지식] .jar 파일은 무엇일까? .jar 파일: 자바 애플리케이션이나 라이브러리를 배포하기 위해 여러 파일들을 하나의 압축 파일로 묶어 놓은 것이 파일은 자바에서 널리 사용되며, 다음과 같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jar 파일의 주요 특징]다수의 파일을 하나로 묶음: .jar 파일은 클래스 파일, 리소스 파일(이미지, 설정 파일 등), 그리고 메타데이터 파일을 하나의 파일로 압축한다. 이를 통해 배포가 간편해지며, 여러 파일을 개별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없다.자바의 배포 형식: 자바 애플리케이션은 .jar 파일로 패키징되어 배포된다. 자바 런타임 환경(JRE)에서 실행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하나의 .jar 파일로 제공하면, 사용자는 해당 파일을 실행하기만 하면 된다. 실행 가능한 .jar 파일에는 메타데이터 파일인 MANIFEST.M.. 2024. 10. 6.
[웹 지식] CRUD CRUD는 데이터베이스와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데이터를 다루는 네 가지 기본 작업을 나타내는 약어이다.  1. Create (생성): 새로운 데이터를 추가하는 작업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 정보를 DB에 추가하는 것이 해당된다. HTTP 메서드에서는 POST가 이 작업에 해당한다. 요청: POST /users요청 본문(body): 새로운 사용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JSON / XML 데이터응답: 새로운 사용자 ID와 함께 성공 메시지 또는 적절한 상태 코드 (e.g. 201 Created)  2. Read (읽기): 기존 데이터를 조회하는 작업이다. DB에서 정보를 검색하거나 표시하는 것이 포함된다. HTTP 메서드에서는 GET이 이 작업에 해당한다. 요청: GET /users응답: 모든 사용자의 목록을 포.. 2024. 10. 5.
[웹 지식] API와 RESTful API ㅁ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소프트웨어 간의 상호작용을 위한 규칙과 프로토콜을 정의하는 것API는 다른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와의 데이터 교환 및 기능 호출을 가능하게 하여, 개발자가 기존의 기능을 재사용하거나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는 데 도움을 준다. API는 주로 요청(request)과 응답(response)의 형태로 동작하며, 특정 규약에 따라 데이터나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간 데이터 교환이나 서비스 이용이 원활해진다. API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3가지로 나뉜다웹 API: HTTP 프로토콜을 통해 웹 서비스와 상호작용하는 API로, 웹 기반 애플리케이션에서 주로 사용된다.라이브러리 API: 특정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라이브러.. 2024. 10.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