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269 [UNIX/Linux] ep11-3) TCP 소켓 프로그래밍 https://claremont.tistory.com/entry/%EC%9A%B4%EC%98%81%EC%B2%B4%EC%A0%9C-IPCInter-Process-Communication [운영체제] IPC(Inter-Process Communication)https://claremont.tistory.com/entry/ep2-%ED%94%84%EB%A1%9C%EC%84%B8%EC%8A%A4process [운영체제] ep2) 프로세스(process)ㅁ프로세스(process): 실행 중인 프로그램 (실행/스케줄링의 단위 및 자료구조)보조기억장치에 저장claremont.tistory.comhttps://claremont.tistory.com/entry/UNIXLinux-ep11-1-%EC%86%8C%EC%BC.. 2024. 12. 8. [UNIX/Linux] ep11-2+) 소켓 프로그래밍 함수 실습 ex1. 같은 시스템에서 클라이언트가 명령행 인자로 파일 이름을 받은 후 이를 서버로 보낸다. 서버는 파일 이름을 받아 파일 내용을 화면에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ex1_client.c)#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define SOCK_PATH "hbsocket"int main(int argc, char* argv[]) { int s, t, len, i; struct sockaddr_un remote; if ((s = socket(AF_UNIX, SOCK_STREAM, 0)) == -1) { perror("socket"); exit(1); } printf("Tr.. 2024. 12. 5. [UNIX/Linux] ep11-2) 소켓 프로그래밍 함수 https://claremont.tistory.com/entry/%EC%9A%B4%EC%98%81%EC%B2%B4%EC%A0%9C-IPCInter-Process-Communication [운영체제] IPC(Inter-Process Communication)https://claremont.tistory.com/entry/ep2-%ED%94%84%EB%A1%9C%EC%84%B8%EC%8A%A4process [운영체제] ep2) 프로세스(process)ㅁ프로세스(process): 실행 중인 프로그램 (실행/스케줄링의 단위 및 자료구조)보조기억장치에 저장claremont.tistory.comhttps://claremont.tistory.com/entry/UNIXLinux-ep11-1-%EC%86%8C%EC%BC.. 2024. 12. 4. [UNIX/Linux] ep11-1+) 소켓 프로그래밍 기초 함수 실습 ex1. 잘 알려진 포트 번호를 입력받아 이에 해당하는 서비스 명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라#include #include int main() { struct servent* port; int pt; printf("Input port number: "); scanf("%d", &pt); port = getservbyport(htons(pt), NULL); if (port != NULL) { printf("name=%s, port=%d\n", port->s_name, ntohs(port->s_port)); } else { printf("No service for %d\n", pt); } return 0;} ex2. /etc/h.. 2024. 12. 3. [UNIX/Linux] ep11-1) 소켓 프로그래밍 기초 https://claremont.tistory.com/entry/%EC%9A%B4%EC%98%81%EC%B2%B4%EC%A0%9C-IPCInter-Process-Communication [운영체제] IPC(Inter-Process Communication)https://claremont.tistory.com/entry/ep2-%ED%94%84%EB%A1%9C%EC%84%B8%EC%8A%A4process [운영체제] ep2) 프로세스(process)ㅁ프로세스(process): 실행 중인 프로그램 (실행/스케줄링의 단위 및 자료구조)보조기억장치에 저장claremont.tistory.com [ep11-1, ep11-2의 학습목표]1. TCP/IP 프로토콜의 기본 개념을 이해한다2. IP 주소와 포트 번호의 개.. 2024. 11. 26. [머신러닝] Gradient Boosting Regressor Model(학습 데이터 수가 적을 때 유용) 데이터의 수가 적을 때는 머신러닝 모델 선택이 더욱 중요하다. 데이터가 충분하지 않다면 딥러닝 모델은 과적합(overfitting)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계산 자원이 낭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Scikit-learn 라이브러리의 Gradient Boosting Regressor 모델이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ㅇGradient Boosting Regressor: 부스팅(Boosting) 기법을 사용하여 여러 개의 약한 학습기(weak learners)를 조합해 강력한 학습기(strong learner)를 만들어내는 모델기본적으로 결정 트리(Decision Tree)를 약한 학습기로 사용하며, 각 단계에서 이전 단계의 오류를 보완하면서 점진적으로 모델의 성능을 향상시킨다과적합 제어:.. 2024. 11. 22. [UNIX/Linux] ep10-2) 세마포 https://claremont.tistory.com/entry/%EC%9A%B4%EC%98%81%EC%B2%B4%EC%A0%9C-IPCInter-Process-Communication [운영체제] IPC(Inter-Process Communication)https://claremont.tistory.com/entry/ep2-%ED%94%84%EB%A1%9C%EC%84%B8%EC%8A%A4process [운영체제] ep2) 프로세스(process)ㅁ프로세스(process): 실행 중인 프로그램 (실행/스케줄링의 단위 및 자료구조)보조기억장치에 저장claremont.tistory.comhttps://claremont.tistory.com/entry/UNIXLinux-ep10-1-%EB%A9%94%EC%8B.. 2024. 11. 13. [UNIX/Linux] ep10-1+) 메시지 큐 함수 실습 hw. 자식이 표준 입력한 내용을 mtype=1로 부모에게 전달한다. 더 이상의 내용이 없을 때 자식은 “bye”와 mtype=2를 전달한다. 부모는 mtype=1이면 받은 내용을 표준 출력하고, mtype=2이면 종료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메시지 큐가 가장 적합)#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define MSGSIZE 128 // 메시지의 최대 크기 정의// 메시지 버퍼 구조체 정의struct msgbuf { long mtype; // 메시지 유형 char mtext[MSGSIZE]; // 메시지 내용};// 부모 프로세스 함수: 자식 프로세스가 보낸 메시지를 수신void parentProcess.. 2024. 11. 7. [UNIX/Linux] ep10-1) 메시지 큐, 공유 메모리 https://claremont.tistory.com/entry/%EC%9A%B4%EC%98%81%EC%B2%B4%EC%A0%9C-IPCInter-Process-Communication [운영체제] IPC(Inter-Process Communication)https://claremont.tistory.com/entry/ep2-%ED%94%84%EB%A1%9C%EC%84%B8%EC%8A%A4process [운영체제] ep2) 프로세스(process)ㅁ프로세스(process): 실행 중인 프로그램 (실행/스케줄링의 단위 및 자료구조)보조기억장치에 저장claremont.tistory.com [ep10의 학습목표]1. UNIX 시스템 V에서 제공하는 IPC 기법2. 메시지 큐를 이용한 통신 프로그램 작성3. 공.. 2024. 11. 6. 이전 1 ··· 4 5 6 7 8 9 10 ··· 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