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네트워크] DNS가 너의 요청을 찾아가는 길
인터넷에서 웹사이트에 접속할 때 www.example.com과 같은 도메인 이름을 사용하지만, 실제 통신은 IP 주소(예: 192.0.2.44)를 통해 이루어진다.DNS(Domain Name System)는 도메인 이름을 해당하는 IP 주소로 변
claremont.tistory.com
ㅁAmazon Route 53: AWS에서 제공하는 확장성과 가용성이 높은 DNS(Domain Name System) 서비스
웹 트래픽을 원하는 리소스로 라우팅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도메인 등록 및 헬스 체크(Health Check) 기능도 포함하고 있다
✅ 주요 기능
- 도메인 등록 및 관리: Route 53을 통해 도메인을 등록하고, AWS 또는 외부 서비스에서 사용할 수 있음
- DNS 라우팅 기능: 다양한 트래픽 라우팅 정책을 지원하여, 클라이언트 요청을 최적의 리소스로 전달
- 헬스 체크(Health Check) 기능: 특정 서버나 리소스의 가용성을 모니터링하고 장애 발생 시 자동으로 라우팅 변경
[Route 53의 주요 레코드 유형]
Route 53은 다양한 DNS 레코드 타입을 지원하며, 각 레코드 타입은 특정한 역할을 수행한다
① NS (Name Server) 레코드
- 도메인의 네임 서버(Name Server) 정보를 포함한다
- Route 53에서는 도메인을 관리하는 네임 서버를 지정하는 역할을 한다
example.com. NS ns-123.awsdns-45.net.
② SOA (Start of Authority) 레코드
- 도메인의 시작 정보를 나타내는 메타데이터를 포함한다
- 해당 도메인에 대한 권한을 가진 네임 서버 정보 및 캐싱 시간 설정을 제공한다
example.com. SOA ns-123.awsdns-45.net. admin.example.com. (
2024030501 ; Serial
7200 ; Refresh
900 ; Retry
1209600 ; Expire
86400 ; Minimum TTL
)
③ A 레코드 (Address Record)
- 특정 도메인 이름을 IPv4 주소로 맵핑한다
example.com. A 192.0.2.1
④ CNAME (Canonical Name) 레코드
- 도메인 별칭(alias)을 설정하는 레코드
- 특정 도메인 이름을 다른 도메인으로 연결할 때 사용
www.example.com. CNAME example.com.
⑤ MX (Mail Exchange) 레코드
- 이메일을 수신할 메일 서버의 주소를 지정하는 레코드
example.com. MX 10 mail.example.com.
⑥ TXT 레코드
- 도메인에 대한 텍스트 정보를 저장하는 레코드
- SPF(Sender Policy Framework) 또는 도메인 소유권 인증에 사용됨
example.com. TXT "v=spf1 include:_spf.google.com ~all"
⑦ ALIAS 레코드
- Route 53에서 제공하는 A 레코드와 비슷하지만 AWS 리소스와 연결 가능
- 예를 들어, CloudFront, ELB, S3 버킷과 직접 연결할 때 사용
(Route 53의 주요 라우팅 정책)
Route 53은 다양한 트래픽 라우팅 방식을 지원하며, 서비스 가용성과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다
① 단순 라우팅(Simple Routing)
- 기본적인 라우팅 방식으로, 한 개의 리소스에 요청을 전달
- 예: example.com이 하나의 EC2 인스턴스 또는 S3 버킷을 가리킬 때
② 가중치 기반 라우팅(Weighted Routing)
- 트래픽을 여러 리소스에 분산
- 특정 리소스에 더 많은 트래픽을 보내도록 가중치를 설정 가능
- 예: 70%의 트래픽을 server1, 30%를 server2로 라우팅
③ 지리적 라우팅(Geolocation Routing)
- 사용자의 위치(국가, 대륙 등)를 기반으로 가장 가까운 서버로 라우팅
- 예: 미국 사용자는 us.example.com, 한국 사용자는 kr.example.com
④ 지연 시간 기반 라우팅(Latency-Based Routing)
- 사용자의 요청을 가장 낮은 지연 시간(Latency)을 가진 AWS 리전으로 라우팅
- 글로벌 서비스에서 성능 최적화를 위해 사용
⑤ 장애 조치(Failover Routing)
- 기본(primary) 리소스가 장애가 발생하면 보조(secondary) 리소스로 자동 전환
- Route 53의 헬스 체크(Health Check) 기능과 함께 사용
⑥ 다중 값 응답 라우팅(Multi-Value Answer Routing)
- 여러 개의 IP 주소를 반환하여 사용자가 여러 서버 중 하나에 연결되도록 설정
- 간단한 로드 밸런싱 효과를 제공
✅ Route 53의 헬스 체크(Health Check) 기능
Route 53은 헬스 체크 기능을 제공하여, 서버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장애 발생 시 자동으로 다른 리소스로 트래픽을 전환할 수 있다.
(헬스 체크의 주요 기능)
- 특정 IP 또는 도메인에 대한 HTTP, TCP, HTTPS 요청을 모니터링
- 특정 서버가 응답하지 않으면 Failover 라우팅을 통해 다른 리소스로 트래픽 전환
- CloudWatch와 연동하여 알람(Alert) 설정 가능
※ Route 53 활용 사례
📌 AWS에서 자체 DNS 관리
- 자체 도메인을 AWS에서 등록하고 EC2, S3, CloudFront 등과 연결
- Route 53을 사용하여 보안 강화 및 트래픽 최적화
📌 멀티 리전 서비스 운영
- 지연 시간 기반 라우팅을 사용하여 글로벌 서비스 배포
- 사용자 위치에 따라 가장 가까운 AWS 리전에 트래픽을 전달
📌 가용성 높은 애플리케이션 운영
- Failover Routing + 헬스 체크를 활용하여 장애 발생 시 자동 복구
- 장애 발생 시 다른 AWS 리소스로 트래픽을 전환하여 고가용성 유지
[정리]
AWS Route 53은 도메인 등록, DNS 관리, 트래픽 라우팅 및 헬스 체크 기능을 제공하는 고가용성 DNS 서비스이다
- 다양한 DNS 레코드(NS, SOA, A, CNAME 등)를 지원하여 도메인 트래픽을 최적화할 수 있음
- 여러 가지 라우팅 정책(단순, 가중치, 지연 시간 기반 등)을 활용하여 트래픽을 최적화 가능
- Failover 및 헬스 체크 기능을 통해 장애 발생 시 자동 복구 가능
Route 53을 활용하면 안정적이고 확장성 높은 AWS 네트워크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클라우드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Amazon EKS가 궁금해요(feat.쿠버네티스) (0) | 2025.03.06 |
---|---|
[AWS] ELB(Elastic Load Balancer)란? (1) | 2025.03.06 |
[AWS] 라우팅 테이블 제대로 이해하기 (0) | 2025.03.05 |
[AWS] VPC 피어링이란? (0) | 2025.03.05 |
[AWS] IGW와 NAT Gateway 구현 방법 (0) | 2025.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