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mputer Science/자료구조

[자료구조] ep6-2) 원형 큐(Circular Queue)

by 클레어몬트 2024. 6. 8.

리스트에 기초한 큐는 ep6) 큐를 보도록 하자

https://claremont.tistory.com/entry/ep6-%ED%81%90Queue

 

ep6) 큐(Queue)

ㅇ큐 ADT: 임의의 개체들을 저장하며, 선입선출(First-In First-Out, FIFO) 순서를 따른다삽입(enqueue)은 큐의 뒤(rear), 삭제(dequeue)는 큐의 앞(front)이라 불리는 위치에서 수행  - 직접 응용: 대기열, 관료

claremont.tistory.com

 

 

 

 

배열로 선형 큐를 구현하면 공간 낭비, 공간의 재사용 불가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그래서 보통은 원형 큐를 사용한다

ㅇ원형 큐(Circular Queue): 선형 큐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자료구조

환형 큐라고도 한다

f: front, r: rear

 

빈 큐를 만원 큐로부터 차별하기 위해 '한 개의 빈 방'을 둔다

 

 

 

 

 

문제) 배열로 구성된 원형 큐를 위한 삽입, 삭제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주요 전략 : 본 문제의 원형 큐에서는 포화 상태(즉, 만원 상태)와 공백 상태(즉, 빈 상태)를

구분하기 위해 한 자리를 비워둠.

  • -  front, rear, 배열의 초기값은 0
  • -  삽입 시 rear 값을 하나 증가시킨 후 원소를 큐에 삽입(출력 예시 1 참고)
  • -  삭제 시 front 값을 하나 증가시킨 후 front가 가리키는 원소를 삭제
  • -  front = rear면 공백 상태로 정의하고, front가 rear보다 하나 앞에 있으면 포화 상태로 정의함

 주의 : 교안에서 제시하는 전략에서는 front와 rear가 각각 큐의 맨 앞과 맨 뒤의 원소 위치를 직접 가리키는 방식으로 정의되어 있으나 위 전략은 front가 맨 앞 원소 위치보다 한 셀 앞 위치를 가리키는 방식으로 정의되었다. 교안의 방식으로 변경하여 작성해도 무방하지만, 이 경우 초기 상태에서 맨 처음 삽입되는 위치는 0번이 아니고, 1번이 되어야 함(그렇지 않으면 본 문제의 입출력 예시와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음).

 

 

 

입출력 형식:

1) 첫 번째 라인: 양의 정수 q (원형 큐의 크기)

 q 값에는 제한이 없다. 또한, 동적 할당을 사용할 것.

2) 두 번째 라인: 양의 정수 n (명령의 개수)

3) 세 번째 이후 라인: n개의 명령이 차례로 입력됨.

※ 명령의 종류는 I(삽입), D(삭제), P(출력)

- I 10 : 원형 큐에 원소 10을 삽입(큐 원소는 양의 정수).

- D : 원형 큐에서 원소를 삭제한 후 해당 배열 원소 값을 0으로 치환.

- P : 배열원소 전체를 차례로 화면에 출력(입출력 예시 참조).

overflow 발생 시(즉, 포화 상태에서 삽입을 시도한 경우), 화면에 overflow와 배열원소들을 모두 출력하고 프로그램 종료.

underflow 발생 시(즉, 공백 상태에서 삭제를 시도한 경우), 화면에 underflow를 출력하고 프로그램 종료.

 

test case

 

 

 

 

(전체코드)

// 주요 전략: 본 문제의 원형 큐에서는 포화 상태와 빈 상태를 구분하기 위해 한 자리를 비워둠
#include <stdio.h>
#include <stdlib.h>
#pragma warning (disable:4996)

void initQueue(int* circularQueue);
void enqueue(int* circularQueue, int e);
int dequeue(int* circularQueue);
void print(int* circularQueue);

int g_N; // 원형 큐의 크기
int g_front;
int g_rear;
int g_isError;

int main() {
	int* circularQueue;
	int n; // 입력의 개수
	char cmd;
	int e;

	scanf("%d", &g_N);
	circularQueue = (int*)malloc(g_N * sizeof(int));
	initQueue(circularQueue);
	scanf("%d", &n);
	for (int i = 0; i < n; i++) {
		scanf(" %c", &cmd);
		if (cmd == 'I') {
			scanf(" %d", &e);
			enqueue(circularQueue, e);
		} 
		else if (cmd == 'D') {
			dequeue(circularQueue);
		} 
		else if (cmd == 'P') {
			print(circularQueue);
		}

		if (g_isError == 1) {
			return 0;
		}
	}

	free(circularQueue);
	return 0;
}

void initQueue(int* circularQueue) { // 0으로 모두 초기화
	for (int i = 0; i < g_N; i++) {
		circularQueue[i] = 0;
	}
	g_front = 0;
	g_rear = 0;
	g_isError = 0;
}

void enqueue(int* circularQueue, int e) {
	if (g_front % g_N == (g_rear + 1) % g_N) {
		printf("overflow");
		print(circularQueue);
		g_isError = 1;
		return;
	}
	circularQueue[++g_rear % g_N] = e;
}

int dequeue(int* circularQueue) {
	if (g_front % g_N == g_rear % g_N) {
		printf("underflow");
		g_isError = 1;
		return 0;
	}
	int e = circularQueue[g_front % g_N];
	circularQueue[++g_front % g_N] = 0;
	return e;
}

void print(int* circularQueue) {
	for (int i = 0; i < g_N; i++) {
		printf(" %d", circularQueue[i]);
	}
	printf("\n");
}

 

 

 

 

 

 

 

 

 

 

참고 및 출처: 데이터 구조 원리와 응용(국형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