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 쿼리 성능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슬로우 쿼리를 Slack으로 알림 전송하는 자동화 시스템을 만들었다
(깃허브 레포) https://github.com/imclaremont/slack-DB-monitor
GitHub - imclaremont/slack-DB-monitor: DB 쿼리 성능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슬로우 쿼리를 Slack으로
DB 쿼리 성능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슬로우 쿼리를 Slack으로 알림 전송하는 자동화 시스템 - imclaremont/slack-DB-monitor
github.com
※ 사용법은 README.md 에 적어두었습니다
웹훅(Webhook)이란?
서버 간의 자동 알림 시스템이다. 특정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정해진 URL로 HTTP 요청을 자동으로 보내주는 방식이다
“이벤트 기반 비동기 통신 방식”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해당 이벤트 내용을 포함한 HTTP POST 요청을 미리 등록된 URL로 전송한다!
- 일반 API 방식: 내가 서버에 요청 → 서버가 응답
- 웹훅 방식: 서버가 알아서 내 서버로 “알림을 푸시”
(웹훅 예시)
웹훅의 구성요소
- Trigger: 이벤트 발생 (예: 결제 완료, 코드 푸시 등)
- Webhook URL: 알림을 받을 내 서버의 URL (e.g. https://hooks.slack.com/services/XXX/YYY/ZZZ)
- Payload: JSON 형식의 데이터가 포함된 POST 요청
보면 알겠지만, 진짜 간편하다.. ㅋㅋㅋㅋ
이 프로젝트에서도 웹훅은 핵심적인 역할을 맡는다.
쿼리 성능 로그를 실시간으로 분석한 뒤, 슬로우 쿼리가 감지되면 곧바로 Slack 웹훅 URL로 POST 요청을 보내 알림을 전송한다. 이때 요청 본문(Payload)에는 다음과 같은 정보들이 담긴다
- 발생 시각
- 알림 내용
- 쿼리 비용
- 문제가 된 SQL 쿼리문
이처럼 웹훅을 활용하면, 굳이 DB를 수동으로 모니터링하지 않아도 실시간 알림 기반 대응이 가능해진다. 즉, 장애나 성능 저하가 발생하기 전에 빠르게 감지하고 대응할 수 있는 것이다!
웹훅 활용 팁
- Slack 웹훅 URL 노출 주의: 반드시 .env 등으로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관리해야 한다
- 요청 실패 대비: Slack 서버가 일시적으로 응답하지 않을 경우를 대비해, 간단한 재시도 로직이나 로그 저장을 추가해두는 것이 좋다
- 필터링 로직: 모든 쿼리를 알릴 필요는 없다. 실행 시간이 일정 기준(K 초) 이상인 슬로우 쿼리만 필터링해 전송하는 것이 핵심!
#SK, #SKALA, #SKALA1기
'웹 > 웹 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 개발] AI 코딩 보조 도구 선택 가이드(GitHub Copilot, Cursor) (1) | 2025.04.02 |
---|---|
[웹 개발] API 에러 응답 설계, 어디까지 정해야 할까? (1) | 2025.04.01 |
[웹 개발] Mermaid 다이어그램을 활용합시다! (1) | 2025.02.04 |
[웹 개발] RDE(Remote Development Environment) 진짜 편해요! (2) | 2025.02.03 |
[웹 개발] ADMP(Active Directory Management Platform) 정의 (1) | 2025.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