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250 [UNIX/Linux] ep3) 저수준 파일 입출력 ㅁ파일(file): 관련 있는 데이터의 집합으로, 저장 장치에 일정한 형태로 저장데이터를 저장하는 데는 물론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장치에 접근하는 데도 사용특수 파일의 생성과 삭제 및 입출력은 특수 파일별로 약간씩 차이가 있다 ㅁ저수준 파일 입출력: 시스템 호출(System Call)• 리눅스 커널의 시스템 호출을 이용해 파일 입출력을 수행• 시스템 호출을 이용하므로 파일에 좀 더 빠르게 접근할 수 있는 장점• 또한 바이트 단위로 파일의 내용을 다루므로 일반 파일뿐만 아니라 특수 파일도 읽고 쓸 수 있음• 바이트 단위로만 입출력을 수행 가능하므로 응용 프로그램 작성 시 다른 추가기능을 함수로 추가 구현 해야 함• 열린 파일을 참조할 때 파일 기술자(fd) 사용 ㅁ고수준 파일 입출력: C언어 표준 함수•.. 2024. 9. 30. [UNIX/Linux] ep2+) 파일 함수 실습 ex1. 명령행 인자로 받은 파일의 크기를 알려주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t main(int argc, char* argv[]) { if (argc == 1) { printf("usage: ex1 filename\n"); exit(1); } struct stat statbuf; stat(argv[1], &statbuf); printf("SIZE = %d\n", (int)statbuf.st_size); return 0;} ex2. 명령행 인자로 받은 파일의 종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 2024. 9. 26. 드론 배경지식 mqtt:// 는 기본적으로 포트 1883을 사용하고, mqtts:// 는 포트 8883을 사용한다ㅇMQTT(Message Queuing Telemetry Transport) 프로토콜: 경량 메시지 프로토콜로, 주로 사물인터넷(IoT) 환경에서 장치 간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MQTT는 저전력, 저비용의 제한된 대역폭 환경에서 신뢰할 수 있는 통신을 제공하기 위해 설계되었다.(L5: application layer 프로토콜) ㅇGCS(Ground Control Station): 지상 관제소 ㅇMC(Mission Computer): 드론의 핵심 컴퓨터 시스템으로 드론 내부에 내장ㅇFC(Flight Controller): 드론의 두뇌ㅇPixhawk: 오픈소스 비행 컨트롤러(FC)인 하드웨어 ㅇone.. 2024. 9. 25. [UNIX/Linux] ep2) 파일 다루기 ". 과 .. 은 모든 디렉터리에 항상 존재하는 파일 이름이며, 디렉터리가 생성될 때 자동적으로 포함된다" ㅁ디렉터리 허가- 읽기(r): 디렉터리 내의 파일이나 부디렉터리의 이름을 리스트- 쓰기(w): 디렉터리 내의 파일을 제거하거나 새로운 파일을 생성- 실행(x): cd 혹은 chdir 로 디렉터리 내부로 들어갈 수 있음 (리눅스 파일 함수) [파일 정보 검색 함수] - inode 정보 검색stat() 함수로 검색한 inode 정보는 stat 구조체에 저장되어 리턴된다stat 구조체의 세부 구조는 man -s 2 stat 으로 확인할 수 있다 (stat은 status의 약자이다)struct stat { dev_t st_dev; //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장치의 번호를 저장 ino_t st.. 2024. 9. 24. [Java API] Queue, Deque 인터페이스(ArrayDeque, LinkedList) https://claremont.tistory.com/entry/Java-API-%EC%BB%AC%EB%A0%89%EC%85%98-%ED%94%84%EB%A0%88%EC%9E%84%EC%9B%8C%ED%81%ACCollection-Framework [Java API] 컬렉션 프레임워크(Collection Framework)https://claremont.tistory.com/category/Computer%20Science/%EC%9E%90%EB%A3%8C%EA%B5%AC%EC%A1%B0 'Computer Science/자료구조' 카테고리의 글 목록전자정보통신공학, 컴퓨터공학 전공claremont.tistory.comhttps://claremont.tistory.com/catclaremont.tistor.. 2024. 9. 22. [Java API] Stack 클래스(사용하면 안된다) https://claremont.tistory.com/entry/%EC%9E%90%EB%A3%8C%EA%B5%AC%EC%A1%B0-ep5-%EC%8A%A4%ED%83%9DStack [자료구조] ep5) 스택(Stack)ㅇ스택 ADT: 임의의 개체를 저장하며, 후입선출(Last-In First-Out, LIFO) 순서를 따른다삽입(push)과 삭제(pop)는 스택의 top(스택 포인터)이라 불리는 위치에서 수행 - 직접 응용: 웹페이지들의 기록, ctrlclaremont.tistory.com스택(Stack)의 개념은 위의 게시글을 참고하자 (Stack 클래스 사용 예시 코드)package collection.deque;import java.util.Stack;public class StackMain {.. 2024. 9. 21. [Java API] Map 인터페이스(HashMap, LinkedHashMap, TreeMap) https://claremont.tistory.com/entry/Java-API-%EC%BB%AC%EB%A0%89%EC%85%98-%ED%94%84%EB%A0%88%EC%9E%84%EC%9B%8C%ED%81%ACCollection-Framework [Java API] 컬렉션 프레임워크(Collection Framework)https://claremont.tistory.com/category/Computer%20Science/%EC%9E%90%EB%A3%8C%EA%B5%AC%EC%A1%B0 'Computer Science/자료구조' 카테고리의 글 목록전자정보통신공학, 컴퓨터공학 전공claremont.tistory.comhttps://claremont.tistory.com/catclaremont.tistor.. 2024. 9. 21. [UNIX/Linux] ep1+) 디렉터리 함수 실습 ex1. mkdir() 함수를 사용해 디렉터리를 2개(dir1, dir2) 만들고, 이 중 dir1은 rmdir() 함수로 삭제하고 dir2는 rename() 함수를 사용해 testdir로 바꾸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mkdir->rmdir->rename)#include #include #include int main() { if (mkdir("dir1", 0755) == -1) { perror("dir1"); exit(1); } if (mkdir("dir2", 0755) == -1) { perror("dir2"); exit(1); } if (rmdir("dir1") == -1) { perror("dir1"); .. 2024. 9. 20. [Java API] Set 인터페이스(HashSet, LinkedHashSet, TreeSet) https://claremont.tistory.com/entry/Java-API-%EC%BB%AC%EB%A0%89%EC%85%98-%ED%94%84%EB%A0%88%EC%9E%84%EC%9B%8C%ED%81%ACCollection-Framework [Java API] 컬렉션 프레임워크(Collection Framework)https://claremont.tistory.com/category/Computer%20Science/%EC%9E%90%EB%A3%8C%EA%B5%AC%EC%A1%B0 'Computer Science/자료구조' 카테고리의 글 목록전자정보통신공학, 컴퓨터공학 전공claremont.tistory.comhttps://claremont.tistory.com/catclaremont.tistor.. 2024. 9. 19.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