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82

[SW 아키텍처] 모놀리식 아키텍처(Monolithic Architecture) 가장 전통적인 소프트웨어 설계 방식ㅁ모놀리식 아키텍처(Monolithic Architecture):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이 단일 코드베이스로 구성되는 형태애플리케이션의 모든 구성 요소(예: UI, 비즈니스 로직, 데이터베이스 접근)가 단일 애플리케이션으로 결합되어 배포된다 [모놀리식 아키텍처의 특징]단일 코드베이스: 하나의 코드베이스에서 모든 기능이 실행됨일괄 배포: 변경 사항이 있을 때 전체 애플리케이션을 재배포해야 함단일 DB 사용: 모든 기능이 공통된 DB를 공유함중앙 집중형 설계: 모든 비즈니스 로직이 한 시스템 내에서 처리됨  [모놀리식 아키텍처 vs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SA)]  [모놀리식 아키텍처 장점]✅ 개발이 단순함 → 모든 기능이 하나의 코드베이스에 존재하여 초기 개발이 빠름✅ 성능.. 2025. 2. 18.
[SW 개발 모델] 스크럼(Scrum): 효과적인 애자일 개발 방법론 https://claremont.tistory.com/entry/SW-%EA%B0%9C%EB%B0%9C-%EB%AA%A8%EB%8D%B8-%EC%95%A0%EC%9E%90%EC%9D%BCAgile-%EB%B0%A9%EB%B2%95%EB%A1%A0 [SW 개발 모델] 애자일(Agile) 방법론https://claremont.tistory.com/entry/SW-%EA%B0%9C%EB%B0%9C-%EB%AA%A8%EB%8D%B8-%EC%9B%8C%ED%84%B0%ED%8F%B4Waterfall-%EB%AA%A8%EB%8D%B8 [SW 개발 모델] 워터폴(Waterfall) 모델ㅁ워터폴(Waterfall) 모델: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방법론 중claremont.tistory.com  ㅁ스크럼(Scrum): 소프.. 2025. 2. 18.
[SW 개발 모델] 칸반(Kanban): 애자일 프로젝트 관리를 위한 효과적인 방법론 https://claremont.tistory.com/entry/SW-%EA%B0%9C%EB%B0%9C-%EB%AA%A8%EB%8D%B8-%EC%95%A0%EC%9E%90%EC%9D%BCAgile-%EB%B0%A9%EB%B2%95%EB%A1%A0 [SW 개발 모델] 애자일(Agile) 방법론https://claremont.tistory.com/entry/SW-%EA%B0%9C%EB%B0%9C-%EB%AA%A8%EB%8D%B8-%EC%9B%8C%ED%84%B0%ED%8F%B4Waterfall-%EB%AA%A8%EB%8D%B8 [SW 개발 모델] 워터폴(Waterfall) 모델ㅁ워터폴(Waterfall) 모델: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방법론 중claremont.tistory.com  칸반 보드는 WIP(Work.. 2025. 2. 18.
할루시네이션(Hallucination)이란? 할루시네이션(Hallucination)은 원래 심리학에서 환각을 의미하는 용어지만, 소프트웨어 개발과 AI(인공지능) 분야에서도 유사한 개념으로 사용된다. 주로 AI 모델이나 소프트웨어 시스템이 잘못된 정보나 존재하지 않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현상을 가리킨다.  ㅇ할루시네이션(Hallucination): AI 또는 알고리즘이 신뢰할 수 없는 정보, 존재하지 않는 데이터 또는 논리적으로 틀린 출력을 생성하는 현상주로 AI 기반 시스템, 검색 알고리즘, 자동 생성 모델에서 발생한다AI 및 머신러닝 분야자연어 처리(NLP) 모델 (예: ChatGPT, Bard, Claude 등)AI가 존재하지 않는 정보를 만들어내거나, 근거 없이 새로운 사실을 생성하는 경우e.g. “A라는 사람이 2022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 2025. 2. 18.
[웹 지식] 사용자 행동 기법(로그 데이터 분석, 세션 리플레이, A/B 테스트, 히트맵 분석, 퍼널 분석, 사용자 여정 맵, 심리적 트리거 등) ㅁ사용자 행동 기법(User Behavior Techniques): 사용자의 행동을 분석하고 예측하여 더 나은 사용자 경험(UX)을 제공하기 위한 기법들을 의미한다. 이 기법은 데이터 분석, 행동 심리학, UX 디자인, 마케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ㅇ사용자 행동 데이터 분석- 로그 데이터 분석 : 웹사이트 또는 앱에서 사용자가 남긴 행동 로그(클릭, 페이지 이동, 체류 시간 등)를 분석하여 사용 패턴을 파악한다- 세션 리플레이(Session Replay) : 사용자의 실제 행동을 녹화하여 UI/UX 개선에 활용한다- A/B 테스트 : 두 가지 이상의 버전을 제공하여 어떤 것이 더 나은 사용자 반응을 유도하는지 테스트한다ㅇ행동 패턴 분석- 히트맵(Heatmap) 분석 : 사용자가 화면에서 많이 .. 2025. 2. 18.
[SW 개발 모델] MoSCoW 원칙: 효과적인 요구사항 우선순위 결정 방법 소프트웨어 개발과 프로젝트 관리는 제한된 리소스 내에서 최적의 결과를 도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프로젝트를 진행하다 보면 다양한 요구사항이 쏟아지고, 이들을 모두 처리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MoSCoW 원칙"이다. 이 원칙은 프로젝트에서 요구사항을 우선순위별로 분류하여 필수적인 요소와 부차적인 요소를 명확히 구분할 수 있도록 돕는다.  ㅁMoSCoW 원칙: 프로젝트 관리와 요구사항 정의에서 널리 사용되는 우선순위 결정 기법이 원칙의 핵심은 요구사항을 네 가지 범주로 분류하는 것이다(MoSCoW라는 명칭은 다음 네 가지 요소의 앞글자를 조합한 것이다)Must-Have (반드시 포함해야 할 기능)Should-Have (필요하지만 반드시 필수는 아님)Co.. 2025. 2. 18.
[SW 개발 모델] 애자일에서의 WBS와 스프린트 및 백로그의 융합 https://claremont.tistory.com/entry/SW-%EA%B0%9C%EB%B0%9C-%EB%AA%A8%EB%8D%B8-PMBOK%EC%99%80-WBS-%EA%B0%9C%EB%85%90 [SW 개발 모델] PMBOK와 WBS 개념ㅁPMBOK(Project Management Body of Knowledge, 프로젝트 관리 지식 체계): 프로젝트 관리에 필요한 지식과 프로세스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가이드 미국 프로젝트 관리 협회(PMI, Project Management Institute)에서claremont.tistory.comhttps://claremont.tistory.com/entry/SW-%EA%B0%9C%EB%B0%9C-%EB%AA%A8%EB%8D%B8-%EC%95%A0%EC%.. 2025. 2. 18.
[SW 개발 모델] 스프린트, 백로그, 테일러링 개념 ㅇ스프린트(Sprint): 일정한 기간(보통 1~4주) 동안 수행하는 개발 주기 애자일 프레임워크 중 하나인 "스크럼(Scrum)" 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개발팀이 정해진 기간 내에 완료할 수 있는 작업을 선정하고 집중적으로 개발을 진행하는 방식이다 [스프린트 특징]짧고 반복적인 개발 주기: 일정한 기간(예: 2주) 동안 제품을 개발하고, 그 후 리뷰와 피드백을 반영하여 다음 스프린트를 진행한다고정된 기간: 스프린트는 타임박스(time-boxed)되어 있으며, 중간에 변경되지 않는다우선순위 기반 개발: 가장 중요한 기능부터 개발하여 빠르게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지속적인 개선: 각 스프린트가 끝난 후 회고(Retrospective)를 진행하여 프로세스를 개선한다 ㅇ백로그(Backlog): 완료해야 할 .. 2025. 2. 18.
[SW 개발 모델] PMBOK와 WBS 개념 ㅁPMBOK(Project Management Body of Knowledge, 프로젝트 관리 지식 체계): 프로젝트 관리에 필요한 지식과 프로세스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가이드 미국 프로젝트 관리 협회(PMI, Project Management Institute)에서 개발하고 유지하며, PMP(Project Management Professional)와 같은 프로젝트 관리 자격증 시험의 기반이 된다 ㅁWBS(Work Breakdown Structure, 작업 분할 구조): 프로젝트의 전체 작업을 계층적으로 나누어 관리하는 방법이는 PMBOK(Project Management Body of Knowledge)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다루어진다 [WBS 특징]- 프로젝트의 전체 범위를 구조화된 계층으로 나누어 .. 2025. 2.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