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을 사용한 적이 있다면 .git 폴더와 .gitignore 파일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개발자들 중, 이 두 요소가 정확히 어떤 역할을 하는지 모르는 경우도 많다. 이번 글에서는 .git 디렉터리와 .gitignore 파일의 역할과 중요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git 디렉터리는 숨김 처리가 되어 있기 때문에, ls -al 명령어로 확인할 수가 있다
.git 디렉터리: Git 저장소(repository)의 핵심이며, 해당 폴더가 존재하는 디렉터리는 Git 저장소로 간주된다
이 폴더는 Git이 버전 관리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모든 정보를 저장하는 곳이다
- Git 저장소의 핵심 데이터 보관
- 커밋 정보: 저장소의 모든 커밋과 변경 사항을 기록
- 브랜치 정보: 현재 사용 중인 브랜치 및 브랜치 간의 관계 저장
- 태그 정보: 특정 커밋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설정한 태그 관리
- HEAD 포인터: 현재 체크아웃된 브랜치를 가리키는 파일
- 스테이징 영역: 변경된 파일을 추적하고 커밋할 준비를 하는 인덱스(index) 정보 포함
(.git 폴더 삭제 시 주의점)
- .git 폴더를 삭제하면 해당 디렉터리는 더 이상 Git 저장소로 인식되지 않는다
- 기존의 커밋 이력, 브랜치, 태그 등의 모든 버전 관리 데이터가 사라지므로 신중하게 다뤄야 한다
.gitignore 파일: Git이 특정 파일 또는 디렉터리를 버전 관리에서 제외하도록 설정하는 파일
프로젝트에서 자동 생성되는 파일이나 민감한 데이터를 포함한 파일을 Git 저장소에 올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gitignore 파일의 역할]
- 불필요한 파일 제외: 빌드 결과물, 로그 파일 등 관리가 필요 없는 파일을 제외
- 보안 강화: API 키, 환경 변수 파일 등 민감한 정보를 저장소에 포함되지 않도록 방지
- 프로젝트 관리 용이: 개발 환경마다 달라질 수 있는 설정 파일을 제외하여 협업 시 문제 방지
[.gitignore 파일 작성 방법]
- 특정 파일 제외: config.json
- 특정 폴더 제외: node_modules/
- 특정 확장자 제외: *.log
- 예외 설정: !important.log (일반적으로 제외되지만 특정 파일은 포함)
(대표적인 .gitignore 예시)
# 빌드 파일 및 로그 제외
*.log
*.out
*.exe
# 환경 변수 및 보안 관련 파일 제외
.env
config/*.json
# 특정 폴더 제외
node_modules/
dist/
# IDE 관련 파일 제외
.vscode/
.idea/
*.iml
※ .git 폴더와 .gitignore 파일 수칙
1. 초기 설정에서 적절한 .gitignore 파일을 작성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부터 .gitignore 파일을 작성하여 불필요한 파일이 커밋되지 않도록 설정하는 것이 중요!
2. .git 폴더는 조작하지 않는 것이 원칙
.git 폴더 내부를 직접 수정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으며, Git 명령어를 활용하여 변경 사항을 반영하는 것이 안전
3. 협업 시 공통 .gitignore 규칙 유지
팀 프로젝트에서는 공통 .gitignore 규칙을 유지하여 불필요한 파일이 저장소에 포함되지 않도록 해야 함
Git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려면 .git 폴더와 .gitignore 파일을 잘 이해하고 관리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버전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고 보안을 강화하려면 .gitignore 파일을 프로젝트의 특성에 맞게 설정하고, .git 폴더는 건드리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git 폴더를 건드리면 큰 코 다친다!! (숨김 처리하는 이유)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Git 기초 (0) | 2025.02.0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