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ck3 [Java API] Queue, Deque 인터페이스(ArrayDeque, LinkedList) https://claremont.tistory.com/entry/Java-API-%EC%BB%AC%EB%A0%89%EC%85%98-%ED%94%84%EB%A0%88%EC%9E%84%EC%9B%8C%ED%81%ACCollection-Framework [Java API] 컬렉션 프레임워크(Collection Framework)https://claremont.tistory.com/category/Computer%20Science/%EC%9E%90%EB%A3%8C%EA%B5%AC%EC%A1%B0 'Computer Science/자료구조' 카테고리의 글 목록전자정보통신공학, 컴퓨터공학 전공claremont.tistory.comhttps://claremont.tistory.com/catclaremont.tistor.. 2024. 9. 22. [자료구조] ep5) 스택(Stack) ㅇ스택 ADT: 임의의 개체를 저장하며, 후입선출(Last-In First-Out, LIFO) 순서를 따른다삽입(push)과 삭제(pop)는 스택의 top(스택 포인터)이라 불리는 위치에서 수행 - 직접 응용: 웹페이지들의 기록, ctrl+z, Window OS에서 겹쳐진 윈도우들, C++이나 JVM에서 메서드의 연쇄적인 호출, 재귀의 구현 등- 간접 응용: 알고리즘 구현, 자료구조 구현 우리는 스택을 배열과 리스트 2가지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다 ※ 삽입과 삭제가 특정위치에서만 수행되므로, 헤더노드는 불필요 문제) 배열을 이용해 스택을 구현하시오원소 : 영문자 다음 연산을 지원해야 함.- push(stack, ‘c’) : stack의 top에 원소를 추가한다. stack이 이미 꽉.. 2024. 6. 7. [자료구조] ep2) 재귀(Recursion) ㅇ재귀(recursion): 종료조건을 만족하기 전까지 자기 자신을 계속해서 호출→ 종료조건을 잘 설정해야 한다진행 방향: 종료조건을 향하여 진행작동 원리: stack을 생각하자 (LIFO, 후입선출) 이 작동원리에 대한 마인드셋이 너무 너무 중요하다예를 들어 재귀함수는 3건의 요청이 들어온다 하면 한 함수가 3건의 요청을 처리하는 것이 아닌, 각각 3개의 함수가 1건의 요청을 처리하는 것이다 (재귀함수를 이해하기 위한 최고의 그림이자 예시이다, 세종대 컴공 교수님들 최고!) 참고 및 출처: 실전 C프로그래밍(나중채교수님, 한동일교수님), 데이터 구조 원리와 응용(국형준교수님), C언어로 쉽게 풀어 쓴 자료구조(천인국) 2024. 4. 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