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aas2

프로비저닝(provisioning) SW 용어 최근 클라우드 환경에서 개발과 운영을 병행하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개발 관련 용어를 익혀야겠다는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AWS의 아키텍처 문서나 백서를 읽다 보면 "프로비저닝(Provisioning)"이라는 용어가 자주 등장하는데, 이를 명확하게 이해하는 것이 클라우드 환경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데 중요한 요소로 보인다! Wiki에서는 프로비저닝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프로비저닝은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시스템 자원을 할당, 배치, 배포하여 필요시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과정이다." 'Provision'이라는 단어 자체가 "공급, 제공, 준비" 등의 의미를 가지므로, 프로비저닝이란 서비스에 필요한 시스템을 미리 준비하고, 필요할 때 제공하는 과정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프로비저닝이 자.. 2025. 3. 7.
[컴퓨터 구조] 추가지식2) SMP, 클러스터, NUMA, 클라우드 컴퓨팅 [병렬 프로세서 시스템의 유형]- 단일 명령어 + 단일 데이터 스트림: SISD(Single Instruction Single Data) - 단일 프로세서- 단일 명령어 + 다중 데이터 스트림: SIMD(Single Instruction Multiple Data) - 벡터, 배열 프로세서- 다중 명령어 + 단일 데이터 스트림: MISD(Multiple Instruction Single Data) - 거의 사용 x- 다중 명령어 + 다중 데이터 스트림: MIMD(Multiple Instruction Multiple Data) - 메모리 공유: SMP, NUMA 시스템 / 분산된 메모리: 클러스터  ※ thread: segment of processtask: Linux에서 칭하는 process 또는 thre.. 2024. 3.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