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비저닝(provisioning)2 프로비저닝(provisioning) SW 용어 최근 클라우드 환경에서 개발과 운영을 병행하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개발 관련 용어를 익혀야겠다는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AWS의 아키텍처 문서나 백서를 읽다 보면 "프로비저닝(Provisioning)"이라는 용어가 자주 등장하는데, 이를 명확하게 이해하는 것이 클라우드 환경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데 중요한 요소로 보인다! Wiki에서는 프로비저닝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프로비저닝은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시스템 자원을 할당, 배치, 배포하여 필요시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과정이다." 'Provision'이라는 단어 자체가 "공급, 제공, 준비" 등의 의미를 가지므로, 프로비저닝이란 서비스에 필요한 시스템을 미리 준비하고, 필요할 때 제공하는 과정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프로비저닝이 자.. 2025. 3. 7. [AWS] Storage - EFS, EBS AWS는 다양한 스토리지 서비스를 제공하며, 대표적으로 EBS(Elastic Block Store)와 EFS(Elastic File System)가 있다! 1. AWS EBS(Elastic Block Store): EC2 인스턴스를 위한 블록 스토리지(Block Storage)물리적인 하드디스크처럼 작동하며, 단일 EC2 인스턴스에서만 사용 가능하다✅ 특징일반 서버의 로컬 디스크와 유사ReadWriteOnce(RWO): 하나의 인스턴스에서만 마운트 가능단일 가용영역(AZ)에서만 사용 가능 (다른 AZ로 복제하려면 Snapshots 필요)고가용성을 위해서는 백업 필요 (EBS 스냅샷을 S3에 저장 가능)🔹 사용 사례데이터베이스 스토리지(예: MySQL, PostgreSQL)고성능 스토리지가 필요한 워크로.. 2025. 3. 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