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웹/웹 지식

[웹 지식] API 키(Key)란?

by 클레어몬트 2025. 1. 24.

ㅇAPI 키(Key): 특정 API를 사용할 수 있도록 허가받은 사용자임을 인증하기 위한 고유한 문자열(e.g. abcdef1234567890XYZ!@#)

주로 API 제공자가 각 사용자나 애플리케이션에 발급하며, 다음과 같은 역할을 지닌다

  • 사용자 인증: API 요청을 보낸 사용자가 인증된 사용자임을 증명
  • 사용량 추적: API 제공자는 키를 통해 각 사용자의 API 호출 횟수나 사용 패턴을 추적
  • 권한 제어: 특정 API 키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나 데이터 접근 범위를 제한

 

[사용 방법] API 호출 시 키를 요청 헤더 or 요청 바디 or URL 파라미터에 포함하여 사용

예를 들어, 기상청 Open API를 호출할 때 API 키를 URL 파라미터에 포함한다

import requests

url = "http://apis.data.go.kr/1360000/VilageFcstInfoService_2.0/getUltraSrtNcst"
params = {
    'serviceKey': 'YOUR_API_KEY',  # 여기에 발급받은 API 키 입력
    'numOfRows': 10,
    'pageNo': 1,
    'dataType': 'JSON',
    'base_date': '20230101',
    'base_time': '0600',
    'nx': 60,
    'ny': 127
}

response = requests.get(url, params=params)
print(response.json())

 

 

[API 키 발급]

보통 API 제공자의 개발자 포털에 가입하고, 애플리케이션을 등록하면 발급받을 수 있다

 

 

[보안 관리 수칙 3가지]

키를 절대 공개 저장소(GitHub, 블로그 등)에 노출하지 말 것!

- 혹시 커밋이라도 했다가는 git 기록을 회수하기 위해 난리가 난다

 .env 파일에 저장하고 코드에서는 이를 참조하는 방식을 사용할 것!

키가 노출된 경우, 즉시 폐기하고 새로운 키를 발급받을 것!

 

 

 

API 키는 개발자가 외부 서비스와 통합할 때 필수적인 요소이므로, 이를 안전하게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참고) 챗지피티 API 활용 예시: 원영적 사고 변환기

https://github.com/imclaremont/wonyoung_thinking_converter

 

GitHub - imclaremont/wonyoung_thinking_converter: 원영적 사고 변환기 - LLM 오케스트레이션

원영적 사고 변환기 - LLM 오케스트레이션. Contribute to imclaremont/wonyoung_thinking_converter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